Introduction
학과안내사랑·빛·자유의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발전과 성취를 거듭해 온 아름다운 대학
사범대학은 교수, 직원, 재학생 및 졸업생, 그리고 지역 사회가 모두 함께 하는 교육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최우수 사범대학의 명성을 유지해 나갈 것입니다.
사범대학 학장 장희흥
대구대학교 사범대학은 사랑·빛·자유의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1956년 한국사회사업학교로 설립, 출발하여 1961년 특수교육과가 신설된 이후 현재 14개 학과(전공), 70여 명의 교수님들과 2,200여 명의 재학생으로 구성된 대규모 단과대학입니다.
우리 사범대학은 교과부에서 전국 사범대학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원양성기관평가에서 2차례(1998년, 2010년) 최우수 사범대학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아울러 2011년 “교원양성 선도 사범대학(4년간)”으로 선정되어 교원양성 과정의 질적인 수준 향상에 기여해 왔습니다.
우리 사범대학에서는 교육연수원, 임시 교원양성소 등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교육 이론과 현장 전문성 신장을 지원해 왔습니다. 재학생들을 위한 교원임용고시원, 수업행동분석실, 세미나실 등 교육 지원 시설과 다양한 종류의 교내·외 장학금을 통하여 안정적인 학업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 교육을 선도할 유능하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우수한 교수진 확보, 미래 지향적인 인재 양성 프로그램 개발,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협력 강화, 교육 환경 및 행정 지원의 첨단화 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사범대학은 교수, 직원, 재학생과 졸업생, 그리고 지역 사회가 모두 함께하는 교육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최우수 사범대학의 명성을 유지해 나갈 것입니다. 미래 교육을 선도할 창의적인 교사 양성의 요람인 우리 사범대학이 국내·외에서 세계 교육을 선도하는 사범대학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사범대학은 1956년 한국사회사업대학교로 설립된 이후, 1961년 특수교육과가 신설된 이후 특수교육, 중등교사, 유치원 분야의 유능한 인재를 배출해 왔습니다. 1977년 교육조직의 편제 조정으로 오늘날 사범대학의 전신인 교육학부로 개편되어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1981년 대구대학교 사범대학으로 승격된 본 대학은 확고한 교육기관과 투철한 사명감을 겸비한 중등학교, 특수학교 및 유치원 등 교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특수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한국 특수교육의 요람'으로 자타가 공인하고 있습니다. 지난 1998년과 2010년 교육부가 주최한 교원양성기관평가에서 전국 최우수 사범대학으로 선정되었다.
특수교육공학센터를 중심으로 한 교육자료 개발과 가상대학(Cyber University)을 개설하여 정보화 시대의 교육을 선도할 것을 표방하며, 특히 졸업생들의 폭넓은 진로와 자기 발전을 위한 교과과정을 통하여 복수전공을 적극 권장 실시하고 있다.
미래의 우리 사범대학은 사랑·빛·자유의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창의와 인성을 겸비한 선도적 교육 인재를 육성하는 사범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교육자로서의 확고한 신념과 견실한 사상을 갖춤은 물론, 원만한 인격도야와 폭넓은 학문적 연구, 교육을 통해 국가와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교원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따뜻한 가슴과 열린 마음을 지닌 교원 양성
· 다원적이고 글로컬 마인드를 지닌 교원 양성
·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원 양성
· 융·복합형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원 양성
2020 |
||
---|---|---|
2021. 03 |
25대 학장 장희흥 박사 취임 |
|
2020. 09 |
교과부 주관 제5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B등급 |
|
2020. 02 |
2020년도 전국 교원임용고시 사립대학 최다 합격(292명) |
|
2010 |
||
2018. 03 |
14개 학과(전공) : 편제정원 495명(총 편제정원 1,980명) |
|
2018. 02 |
2018년도 전국 교원임용고시 사립대학 최다 합격(302명) |
|
2016. 03 |
교육부 주관 제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B등급 |
|
2015. 03 |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설치 |
|
2014. 06 |
교육부 대구대학교 특성화 사업 "특수과학문화교육인력양성사업단" 선정 |
|
2014. 04 |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신설 승인 |
|
2012. 02 |
사범대학 부설임시교원양성소 설치인가 |
|
2011. 06 |
교육과학기술부주관 “교원양성 선도 사범대학” 선정(4년간) |
|
2010. 08 |
2010년 전국 교원양성기관평가 “A(최우수)등급” 획득 |
|
2010. 03 |
사범대학 교원임용고시원 개원 |
|
2000 |
2009. 09 |
사범대학 부설 교원임용고시원 설치 |
2009. 02 |
역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 학부에서 학과로 분리 |
|
2006. 01 |
2006년도 중등교사임용시험 지역대학 최다 합격(207명) |
|
2004.07 |
NURI사업 중심대학 선정 |
|
2003.12 |
교육부 주관 전국 사범대학 종합평가 우수 대학 인정 |
|
2001.10 |
2001년도 BK사업 2차년도 연차평가 결과 <특수교육 교육, 연구단> 1위 선정 |
|
1990 |
1999.12 |
<두뇌과학(BK) 21사업 사회분야> 교육학<특수교육 교육. 연구단> 사업단 선정 |
1999.03 |
교육부 주관 사범대학 종합평가 최우수 대학 인정 |
|
1998.08 |
특수교육 재활테크노파크사업단 설치 |
|
1997.11 |
환경교육과 신설, 역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를 사회교육학부로 통합.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를 과학교육학부로 통합 |
|
1996.12 |
특수교육공학센터 설치 |
|
1995.06 |
사범대학 부설 중등교육연수원 개설 |
|
1994.11 |
대구대학교 부설 유치원 및 영광유치원을 사범대학 부속 유치원으로 변경인가 |
|
1980 |
1981.10 |
대구대학교로 명칭변경 및 사범대학 4개학과 신설 |
1970 |
1977.03 |
교육학부 신설 - 특수교육과 등 7개 학과(전공) |
1960 |
1962.02 |
특수교육과 신설 |
1950 |
1956.05 |
한국사회사업학교 설립 |
이름 | 직책 | 담당업무 | 전화 | 팩스 |
---|---|---|---|---|
장희흥 | 학장 | 교수 | 053-850-4100 | |
백상수 | 부학장 | 교수 | 053-850-4101 | |
이옥례 | 실장 | 업무총괄 | 053-850-4102 | |
우철봉 |
담당 | 행정지원(교육연수원, 임용고시원, 임시교원양성소 업무) | 053-850-4103 | |
임경숙 | 담당 | 행정지원(학사행정) | 053-850-4105 | |
전미예 | 담당 | 행정지원(교직업무) | 053-850-5126 | |
박동재 | 담당 | <수업콘텐츠제작지원 /td> | 053-850-4245 | |
이대혁 | 조교 | 기자재(실)관리(교육연수원, 임용고시원, 임시교원양성소 업무 지원) | 053-850-4106/4228 | |
강동훈 | 조교 | 시설 및 임용고시원 지원 | 053-850-4107 | |
김지영 | 조교 | 교직업무보조 | 053-850-5127 |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TEL 053-850-5000 (대표번호, 학생행복콜센터) FAX 053-850-5009
Copyright(c) 2017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