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학과안내사랑·빛·자유의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발전과 성취를 거듭해 온 아름다운 대학
공과대학장 이영우
안녕하세요?
대구대학교 공과대학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여기는 학생들의 미래를 성공으로 안내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60여 분의 교수님들과 학생지원을 위해 친절하고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직원 선생님들이 함께하는 공과대학입니다.
대구대학교 공과대학은 1978년에 4개 학과(건축, 토목, 식품, 산업)를 시작으로 현재 2개 학부(4개 전공), 8개 학과로 개편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공과대학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우리 공과대학은 그동안 두뇌한국(BK)21 사업,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URI) 및 대학특성화사업(CK) 등 다양한 인력양성사업의 성공적 수행으로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교육과정을 혁신함으로써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높은 취업률과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함께 해왔습니다.
또한,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공학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다양한 교과·비교과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정부로부터 잘 가르치는 대학, 산학협력을 통한 취업역량을 갖춘 대학으로 인정받아 2017년부터 ACE+, LINC+ 등 대규모 재정지원 사업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학생들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로 성장하여 지역의 다른 대학에 비해 매우 높은 취업률을 달성하였고 현재도 많은 기업의 구인 요청이 이어지고 있는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대학교 공과대학의 주변에는 많은 공단들이 위치하여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들이 산재해 있어 공학교육과 취업에 매우 유리한 지역적 여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건을 바탕으로 학생 취업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기업의 요구에 대응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공학인재 양성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대구대학교 공과대학과 함께,
한 단계 도약하는 청년, 미래의 성공을 준비하는 청년의 꿈을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공과대학은 현대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고급기술 두뇌의 양성을 위하여 1981년 이공대학으로 출발하여 1988년 공과대학으로 독립되어 현재 2개 학부와 1개 학과군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해 나갈 전문기술인력 양성에 목표를 두고 유능하고 우수한 교수진과 최첨단 실험 실습시설을 완비하여 정보화를 위한 전문성, 국제화를 위한 전문적 지식을 갖춘 고급 기술인력 양성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본 공과대학은 5개의 건물에 10여개의 최첨단 멀티미디어 강의실을 비롯하여 80여개의 실험 실습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322여점의 고가 기자재를 포함한 약 13,000여점의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9,400여명의 졸업생들이 국가기관, 기간산업체, 연구소등에서 국가 및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하여 중추적인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공과대학은 첨단 기술의 연구개발과 기술혁신 및 산학협동을 통해 산업사회를 이끌어갈 공학도를 양성하고 있으며, 특히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단(NURI)과 지방대학 특성화사업단(CK)에 선정되어 전문기술 인력양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10 |
2018.03 |
신소제에너지공학과 신설 |
---|---|---|
2018.03 |
도시.조경학부 조경학전공, 도시계획공학전공 개편 |
|
2017.03 |
토목공학과를 건설시스템공학과로, 기계공학부 기계설계전공을 기계설계공학전공으로 명칭변경 |
|
2016.03 |
기계·자동차공학부를 기계공학부로 명칭변경 |
|
2015.03 |
기계융복합공학과(계약학과) 신설 |
|
2011.03 |
자동차·산업·기계공학부를 기계·자동차공학부, 산업경영공학과로 개편 |
|
2000 |
2008.03 |
식품공학부 개편으로 식품공학전공, 식품영양학전공을 학과로 독립 |
2007.06 |
2007년 공학교육혁신센터사업 선정(산업자원부) |
|
2005.11 |
토목공학과 야간 폐지, 식품생명공학부 개편으로 생명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학과로 독립 |
|
2003.11 |
공과대학에서 정보통신대학으로 분리 독립 |
|
2001.05 |
공과대학 6호관 준공 |
|
2000.10 |
식품영양학과 편제 조정 |
|
1990 |
1999.08 |
공학대학 신축건물로 이전, 인터넷공학전공 신설 |
1998.11 |
멀티미디어공학전공, 건축공학과 야간, 토목공학과 야간 신설 |
|
1997.11 |
기계공학과 신설, 자동차·산업·기계공학부 통폐합, 환경공학전공 신설 |
|
1996.10 |
자동차공학과 신설 |
|
1995.09 |
전기전자공학부 정보통신공학부로 변경, 컴퓨터 정보통신공학부 통폐합 |
|
1994.09 |
전기전자공학부 통폐합 |
|
1992.07 |
화학공학과 신설 |
|
1991.10 |
전산정보학과 신설 |
|
1990.10 |
제어계측공학과 신설 |
|
1980 |
1988.10 |
정보통신공학과 신설 |
1984.10 |
생물공학과, 전자계산학과 신설, 생명환경대학에 조경학과 신설 |
|
1983.09 |
전자공학과 신설 |
|
1982.01 |
이공대학 경산캠퍼스 이전 |
|
1981.10 |
이공대학으로 명칭 변경 |
|
1980.01 |
식품공학과 신설 |
|
1970 |
1978.10 |
공학부 설치 (공업경영학과,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
이름 | 직책 | 담당업무 | 전화 | 팩스 |
---|---|---|---|---|
이영우 | 학장 | 총괄 | 053-850-6500 | 053-850-6509 |
권병목 | 실장 | 업무총괄 | 053-850-6502 | |
박종윤 | 담당 | 회계/시설 | 053-850-6503 | |
우선정 | 담당 | 학사행정 | 053-850-6504 | |
김찬영 | 조교 | 시설/기자재관리 | 053-850-6505 | |
백송미 | 조교 | 학사행정 | 053-850-6506 |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TEL 053-850-5000 (대표번호, 학생행복콜센터) FAX 053-850-5009
Copyright(c) 2017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