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학과안내사랑·빛·자유의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발전과 성취를 거듭해 온 아름다운 대학
조형예술대학장 김시만
4차 산업혁명시대는 디자인 중심으로 영역 간 융합을 만들어 내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가 될 것입니다.
사회와 기술은 더욱더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 변화 속도는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빠릅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순간에 여러분들이 있습니다. 변화와 전진을 만드는 동력은 즐거움에 있습니다. 즐거움은 서로 긍정적 에너지로 함께하게 하고 변화에 생기를 만듭니다.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의연하게 바라보고 지금의 서투름을 즐거운 생각으로 발전시켜 봅시다. 창의에 대상은 늘 그렇듯 영역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은 1981년에 편제되어 현재 7개의 세부 전공으로 구성되어 1,200여 명의 재학생이 있는 아주 큰 규모의 대학입니다.
자! 이제 우리의 감각기관을 활짝 열고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과 함께 숲으로 떠나 봅시다. 나보다 먼저 실천한 선배들을 따라 하면 쉽고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게 합니다. 선배들의 업적에 올라탈수록 훨씬 좋은 시야를 가지게 됩니다. 그들의 어깨에 올라 세상을 보세요. 세상은 텔레비전, 인터넷, 컴퓨터그래픽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상을 느끼고 받아들이기에는 눈, 코 혹은 두세 개의 감각기관으로는 부족합니다. 우리의 오감으로 받아들이고 육감으로 표현하는 지혜를 가져야 합니다.
여러분!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과 함께 변화와 즐거움에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학장 /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김시만
조형예술대학은 21세기의 문화와 지식정보화시대가 요구하는 능동적인 전문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론과 실기를 병행한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교과과정과 실용교육을 통하여 풍부한 미적 감각과 창의력을 갖춘 유능한 인재를 배출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 진출하여 왕성한 활동과 함께 인정을 받고 있다.
또한, 전문적 능력을 구비한 우수한 교수진과 교육환경은 실기실습과 더불어 교육효과를 극대화한다. 정규수업시간 이외에도 학생들이 자발적인 창작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지도하여 많은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전국 규모의 유수한 작품공모전에 출품하여 우수한 성과를 거두어 대내외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2020 |
2021.03 |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 (재)경상북도경제진흥원 업무협약 체결 |
---|---|---|
2010 |
2018.05 |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College of Professional Metropolitan State University of Denver와의 업무협약 체결 |
2018.03 |
현대미술과,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학과, 생활조형디자인학과를 융합예술학부(현대미술전공,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학전공, 생활조형디자인학전공) 으로 명칭 변경 |
|
2017.05 |
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 대구미술관 대구지역 미술·디자인교육·문화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2016.03 |
회화과를 현대미술과로 명칭 변경 |
|
2010.03 |
미술 • 디자인학부(회화전공,시각디자인학전공,영상 • 애니메이션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학 전공,생활조형디자인학전공)를 학과로 명칭 변경 |
|
2000 |
2009.03 |
공예디자인전공을 생활조형디자인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
2009.01 |
국립대만예술대학과 국제교류협정을 체결 |
|
2008.03 |
실내환경디자인학과를 실내건축디자인학과로 명칭 변경 |
|
2006.03 |
일본 동경예술대학과 국제교류협정 체결 |
|
2005.04 |
중국 소주대학과 국제교류협정 체결 |
|
2005.03 |
주거환경디자인학과가 실내환경디자인학과로 명칭 변경 |
|
2005.01 |
미국 브리지 포트대학과 국제교류협정 체결 |
|
2004.06 |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NURI) 중심대학으로 선정 |
|
2001.10 |
디자인대학원 석사과정(야간) 신설, 디자인연구소 신설 |
|
2001.03 |
응용미술전공을 시각디자인전공으로 명칭 변경 |
|
1990 |
1999.11 |
대학원 미술학과를 미술 디자인학과로 명칭 변경 |
1999.09 |
이태리 밀라노 국립Brera예술대학과 국제교류협정체결 |
|
1998.10 |
대구대학교 미술관 개관 |
|
1997.12 |
러시아 레핀 쌍트페테르부르그 국립대학과 국제교류협정 체결 |
|
1997.11 |
공예학과가 공예디자인학과로 명칭 변경 |
|
1996.10 |
제1회 세계디자인대학 박람회 참가 |
|
1996.08 |
미국 Murray State University 와 국제교류협정 체결 |
|
1995.10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회화과를 미술학과로 명칭 변경하고 4개 전공(회화,응용미술, 산업디자인, 공예디자인) 신설 |
|
1991.03 |
미술교육원 설치 |
|
1980 |
1988.10 |
산업도안학과가 산업디자인학과로 명칭 변경 |
1987.05 |
미술문화연구소 설치 |
|
1984.03 |
대구캠퍼스에서 경산캠퍼스로 이전 |
|
1983.09 |
공예학과(30명) 신설 |
|
1981.10 |
인문대학에 산업도안학과(30명), 응용미술학과(30명) 신설 |
이름 | 직책 | 담당업무 | 전화 | 팩스 |
---|---|---|---|---|
김시만 | 학장 | 교수 | 053-850-6900 | |
강진구 | 실장 | 업무총괄 | 053-850-6903 | 053-850-6909 |
이경자 | 담당 | 행정지원 | 053-850-6904 | |
황유섭 | 인턴 | 053-850-6905 | ||
이슬아 | 인턴 | 053-850-4281 | ||
김해공 | 조교 | 053-850-6905 | ||
최수보 | 조교 | 053-850-6905 |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TEL 053-850-5000 (대표번호, 학생행복콜센터) FAX 053-850-5009
Copyright(c) 2017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